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오늘도 찌는 듯한 더위는 계속됐습니다. <br> <br>도대체 이런 더위가 얼마나 이어질지 문화과학부 최석호 차장과 얘기 나누겠습니다. <br><br>Q1. 최 차장. 연일 폭염 관련 신기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앞서 리포트 보신 것처럼 경북 영덕 낮 최고기온이 39.9도까지 올랐습니다. <br> <br>40도에 육박하는 폭염이 연일 계속되고 있는데요, 1907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지난해까지 공식기온이 40도를 넘은 건 1942년 대구가 40.0도를 기록한 것이 유일했거든요. <br><br>하지만 올해는 벌써 40도를 넘어선 지역이 5곳이나 됩니다. <br> <br>지난 1일, 강원도 홍천이 41도까지 올라서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보였고요, 강원도 북춘천과 경북 의성, 경기 양평, 충북 충주 등도 40도를 돌파했습니다. <br><br>지도를 다시 한번 보시면, 전국이 붉게 물든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에 설치된 전국 95곳 관측소 중에 60곳에서 역대 최고기온을 경신했는데요, 우리나라의 3분의2에 해당하는 지역들이 기상관측 이래 가장 더웠다는 얘기입니다. <br><br>Q2. 그런데, 폭염이 왜 이렇게 장기화되는 겁니까? <br><br>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강하게 자리잡은 상태에서 티베트 고기압까지 유입되면서 한반도 주변에 열돔이 형성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열돔을 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태풍을 꼽았었는데요, <br><br>하지만 태풍까지 한반도 주변을 비켜 나갔습니다. <br> <br>6월과 7월에 만들어진 6개의 태풍을 비롯해서 올해 발생한 13개 태풍 모두 한반도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는데요, 한반도를 둘러싼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이 너무 강해서 태풍이 고기압 중심으로 들어가지 못한 겁니다. <br> <br>가장자리를 맴돌다 지나쳐간 태풍 세력이 비 대신, 덥고 습한 열대 공기만 공급하면서 폭염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한 겁니다. <br><br>Q3. 조금전 리포트에서 내일 소나기 소식이 있다고 하는데, 비는 오늘 오전에도 잠깐 왔었잖아요? <br><br>아침에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부에 비가 잠깐 내렸던 것은 맞습니다. <br> <br>그런데요, 서울에 내린 비의 양은 2mm밖에 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기상청 관계자는 이렇게 얘기했습니다. <br> <br>"강수량 2mm는 '빗방울' 표현이 맞다" <br>"폭염에 영향을 줄 수 없는 양이다" <br> <br>하지만 내일과 모레는 소나기를 비롯한 국지성 호우가 예고되고 있는데요. <br> <br>그러나 폭염을 몰아내기엔 부족해 보입니다. 전문가 얘기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> <br>[반기성 / 케이웨더 센터장] <br>당분간은 폭염의 기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(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이) 불안정해지면서 소나기가 내리는 것이지 북태평양 고기압은 여전히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이달 중순까지는 33도를 웃도는 폭염이 계속될 것이라는 얘기인데요, 특히 이번주에는 남부지역 폭염이 절정을 이룰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알겠습니다. 최석호 차장이었습니다.